에어캐나다 승무원들이 연방 복귀 명령(back-to-work order)을 무시하고 파업을 이어가면서,
노조와 항공사 모두에 큰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.
📌 지금 상황
- 연방 노동위원회(CIRB): 지난주, 승무원들에게 오후 2시까지 업무 복귀 명령
- 노조(CUPE): 거부 선언 → 파업 계속 진행
- 결과: 에어캐나다 전편 운항 중단, 하루 13만 명 승객 발 묶임
⚖️ 법적·역사적 선례
- 1981년 CUPE 병원 파업: 노조 지도부 3명, 복귀 명령 거부로 45일 징역형
- 2022년 온타리오 교육노동자 파업: 포드 정부 복귀법 통과 → 노조 강행 → 정부가 나흘 만에 법 철회 후 협상 복귀
👉 즉, 이번에도 벌금·구속 위험이 있지만, 동시에 노조 압박이 역풍이 될 수도 있다는 점.
🗣️ 전문가 전망
- 스티븐 터프츠(요크대): “이번 협상은 세대적 의미를 가진다. 지금 얻지 못하면 앞으로도 못 얻는다.”
- 데이비드 두어리(요크대): “정부·항공사·노조 모두 배후 협상을 진행 중일 가능성. 장기화 가능성 낮다.”
- 해결 시나리오 2가지:
- 정부·법원 → 벌금·구속 등 강경 대응
- 에어캐나다 → 여론 압박에 다시 협상 테이블 복귀
💡 핵심 쟁점
- 비행 중이 아닌 지상 근무 시간 임금 미지급 관행
- 노조: “모든 근무 시간 100% 급여” 요구
- 전문가·정치권: 노동법 개정으로 해결 가능성 언급
✈️ 승객 반응
- 일부는 불편에도 노조 지지: “힘든 상황이지만, 승무원들이 정당한 대우 받아야 한다.”
- 다른 일부는 막대한 추가 비용 발생: 예: 키치너 부부, 취소로 결국 7,800달러(USD) 들여 비즈니스석 재구매
📢 정리
- 단기: 운항 차질 지속, 정부 개입 수위 관건
- 중기: 에어캐나다, 협상 복귀 압박 ↑
- 장기: 항공 노동 조건 개선 논의 불가피
💬 여러분 생각은요?
- 노조의 ‘명령 거부’가 정당한 투쟁일까요, 아니면 지나친 불법 행동일까요?
- 정부는 벌금·구속으로 강경 대응해야 할까요, 아니면 협상으로 풀어야 할까요?
댓글로 의견 남겨주세요! 🗨️👇